본문 바로가기

운영

[2025 종소세] 블로그 사업자등록 시 ‘간이사업자’와 ‘일반사업자’ 중 어떤 걸 선택해야 유리할까?

반응형

[2025 종소세] 블로그 사업자등록 시 부가가치세 ‘간이사업자’와 ‘일반사업자’ 중 어떤 걸 선택해야 유리할까?

블로그 운영으로 사업자등록을 할 때, ‘간이과세자’와 ‘일반과세자’ 중 무엇을 선택하는지에 따라 부가세 부담, 환급 가능성, 세무관리 복잡성 등이 달라집니다.
어떤 것이 더 유리한지는 수익 규모, 매입 비용 구조, 환급 필요성, 세무 처리 능력에 따라 다르므로 아래에 조건별로 비교해드릴게요.

목차


✅ 간이과세자 vs 일반과세자 핵심 비교

항목  간이과세자  일반과세자
연매출 기준 8,000만 원 미만 무제한
부가세 신고 연 1회 (1월) 연 2회 (1월, 7월)
세금 계산서 발행 일부 제한 (사업자에게 발행 불리) 전면 가능
부가세 환급 불가 (매입세액 공제 안 됨) 가능 (장비·소프트웨어 등 공제)
세금 부담 수입의 약 0.5~3.0% (업종별) 매출의 10% 부가세 → 매입세액 차감
신고·관리 난이도 간단 상대적으로 복잡
신용도 영향 낮음 (기업 신뢰 ↓) 높음 (제휴·광고 파트너 신뢰 ↑)


✅ 블로거에게 유리한 선택 기준

간이과세자가 유리한 경우

  • 연매출 8,000만 원 미만
  • 광고비 수익은 있는데 지출이 거의 없는 경우
  • 개인적으로 세무 처리를 간단히 하고 싶을 때
  • B2C 수익 중심 (예: 애드센스, 쿠팡 파트너스 등 소비자 대상 플랫폼)

일반과세자가 유리한 경우

  • 장비·도구·프로그램 등 매입이 많고 환급받고 싶을 때
  • 향후 수익 확대(법인화, 광고 대행 등) 계획이 있을 때
  • 기업 제휴·세금계산서 발행 요구가 많은 경우
  • 홈스튜디오, 카메라, PC, 마이크, Adobe 등 구입비를 부가세 환급받고 싶을 때

✅ 실제 예시로 보면

  • 직장인 블로거 A: 월 수익 30만 원, 지출 거의 없음 → 간이과세자 추천
  • 콘텐츠 마케터 B: 연 4천만 원 수익, Adobe 구독료, 장비구입 많음 → 일반과세자가 유리
  • 인플루언서 C: 제휴 브랜드 많고 세금계산서 요구 많음 → 일반과세자 필수


✅ 전략적으로 이런 선택도 가능

  1. 초기엔 간이과세자로 시작 → 관리 부담 적고 신고 간단
  2. 수익이 늘고 지출이 커지면 일반과세자로 전환
    (국세청에 변경 신고 가능)

*일반적으로 매출 규모에 따라 위와 같은 루트를 추천하지만 개인적으로 간이과세 보다는 일반과세를 더 추천합니다.
이유는,

  1. 사업자등록 첫 해에 투자비용으로 들어가는 비용(사무실 임대료부터 프로그램 구입비 및 업무용품 구입비 등등)이 가장 큰데 이 투자비용들에 대한 환급을 받으려면 일반과세자여야 합니다.
  2. 업종 특성상 거래대상이 규모가 있는 기업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경우 세금계산서로 영수증을 대신하므로 세금계산서 발행에 제한이 있는 간이과세자로는 규모있는 기업과 계약이 어렵습니다.
  3. 간편장부의 경우 조금만 공부를 하면 혼자서도 작성이 가능할만큼 쉬우므로 세무사 도움이 없이도 세금신고가 가능하므로 세무사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.


✅ 결론

조건  추천 유형
연매출 8,000만 원 이하 + 지출 적음 ✅ 간이과세자
연매출이 클 가능성 + 장비/프로그램 비용 많음 ✅ 일반과세자
기업 제휴가 많은 블로그 운영자 ✅ 일반과세자

블로그 사업자등록 시 ‘간이사업자’와 ‘일반사업자’ 중 어떤 걸 선택해야 유리할까?


이상 사업자 등록 시 간이과세와 일반과세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