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운영

[2025 종소세] 종합소득세 간단 계산 방법

반응형

[2025 종소세] 종합소득세 간단 계산 방법

종합소득세 계산은 복잡해 보이지만, 몇 가지 핵심 구조만 알면 간단한 방식으로도 추산할 수 있습니다. 프리랜서나 1인 창작자 기준으로 “수입 – 필요경비 – 공제 = 과세표준 → 세율 적용” 순서를 기억하면 됩니다. 아래에 간단한 계산 흐름과 실전 계산 방법까지 정리해드릴게요.

목차


✅ 1. 종합소득세 계산 기본 구조

[총 수입]  
- [필요경비]  
= [소득금액]  

- [소득공제]  
= [과세표준]  

× [세율]  
= [산출세액]  

- [세액공제]  
= [최종 납부세액]

✅ 2. 단계별 설명

총 수입

: 1년 동안 벌어들인 전체 매출(수입)
예: 유튜브 수익, 외주 비용, 강의료 등

필요경비

: 수입을 얻기 위해 직접적으로 쓴 비용
예: 장비 구입비, 소프트웨어 구독료, 교통비, 촬영 장소 임대료 등
👉 증빙 가능한 영수증 필수

단순경비율을 선택하면 복잡한 경비 정리 없이 일정 비율로 자동 처리됨 (아래 참고)

소득공제

: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개인연금, 본인 기본공제(150만원), 부양가족 등
근로자와 동일하게 적용

과세표준

: 소득금액에서 공제를 뺀 금액
👉 이 기준으로 누진세율이 적용됨

과세표준  구간 세율
1,200만 원 이하 6%
1,200만 ~ 4,600만 원 15%
4,600만 ~ 8,800만 원 24%
8,800만 ~ 1억5천만 원 35%
1억5천만 원 초과 38~45%

세액공제

: 기부금, 보험료, 자녀세액공제 등으로 직접 세금에서 차감
→ 최종적으로 납부할 세금 확정


✅ 3. 간편한 계산 방법 (단순경비율 기준)

초보 프리랜서나 장부 정리가 어려운 경우, 단순경비율을 적용하면 쉽게 계산 가능:

📌 예시 시뮬레이션

  • 총 수입: 3,000만 원
  • 업종: 영상 콘텐츠 제작 (단순경비율 약 60%)
  • 경비: 자동 계산 (3,000만 × 60% = 1,800만 원)
  • 소득금액: 3,000만 - 1,800만 = 1,200만 원
  • 공제: 본인 공제 150만 원
  • 과세표준: 1,050만 원
  • 세율: 6%
  • 세금: 1,050만 × 6% = 약 63만 원
    → 세액공제 등 반영 시 실 납부액은 더 줄어듦

✅ 4. 간편 계산용 공식 (초간단)

1년 총 수입 × (1 - 단순경비율) - 기본공제
→ 결과에 따라 세율 적용 (6~15%로 가정)

  • 예: 총 수입 5,000만 원, 경비율 60%
    → 소득 = 5,000 × 0.4 = 2,000만
    → 과세표준 = 2,000만 - 150만 = 1,850만
    → 세율 15% → 대략 278만 원 세금

동일한 방법으로 아래는 홈택스 사이트에서 자동 계산된 단순경비율 반영 소득금액 인정액입니다. 수입금액과 경비, 소득금액을 확인하면 세율에 따라 세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종합소득세 간단 계산 방법
예시 수입금액 및 소득금액

 


✅ 5. 장부 기장시 (복식/간편 장부)

  • 정확한 비용 정리 가능 → 절세 가능성↑
  • 하지만 노동이 많이 듬
  • 연 매출 7,500만 원 이상이면 복식부기 기장 의무 대상 (안 지키면 가산세)

간편장부 대상자가 복식부기로 장부 작성 및 신고할 경우 손실이 나면 다음 내야할 세금에서 덜 내도록 하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 

이상 간단하게 종합소득세를 계산해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