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[2025 종소세] 직장인이 블로그로 부수익을 올리면 종합소득세 대상이 될까?
직장인이 블로그로 얻는 부수익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. 근로소득 외에 추가로 수익이 생기면, 그 금액과 성격에 따라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가 발생합니다.
아래에 구조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.
목차
✅ 1. 직장인의 블로그 수익도 ‘기타소득’ 또는 ‘사업소득’으로 분류됨
수익 성격 | 소득 | 구분 예시 |
일시적, 소액 | 기타소득 | 가끔 광고비, 체험단 수익, 원고료 |
정기적, 반복적 | 사업소득 | 제휴마케팅, 블로그 운영 광고 수익, 협찬비 수익 등 |
👉 기준은 지속성, 반복성, 조직성에 있음.
→ 자주 수익이 발생하거나 본격적으로 운영하는 경우는 사업소득 처리가 원칙입니다.
✅ 2. 신고 대상 기준: 연간 기타소득 ‘300만 원’ 또는 소득금액 ‘330만 원’ 초과
- 기타소득인 경우:
- 연간 총지급액이 300만 원 이하이면 신고 면제 가능 (단, 필요경비 60% 자동 적용 시)
- 300만 원 초과 시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
- 사업소득인 경우:
- 필요경비 제외한 순소득이 330만 원 초과하면 납세 의무 발생
- 소득이 0원이어도 수익이 발생하면 신고 의무는 존재
✅ 3. 근로소득 + 블로그 수익 =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
직장인의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:
조건 |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여부 |
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| 회사에서 연말정산으로 끝 |
근로소득 + 블로그 수익 있는 경우 | 무조건 본인이 따로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함 |
연말정산은 근로소득만 정산하는 것이고, 부수입은 별도 신고 대상입니다.
✅ 4. 실제 예시
- 직장인 A 씨, 월급 외에 블로그로 연간 400만 원 수익
- 비용이 거의 없다면, 소득금액 = 거의 400만 원
- 330만 원 초과 →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+ 납부세액 발생 가능성 있음
✅ 5. 국세청에 이미 대부분 정보는 전달되고 있음
- 블로그 수익이 광고사나 플랫폼을 통해 정산되는 경우 → 지급자가 원천징수 이행신고
- 국세청은 지급 내역을 알고 있으므로 신고 누락 시 추후 가산세, 세무조사 위험
✅ 정리
항목 | 설명 |
신고 기준 | 수익이 발생하면 무조건 신고 필요 |
납세 기준 | 소득금액 330만 원 초과 시 납부세액 발생 가능 |
분류 | 기타소득(일시적), 사업소득(지속적) |
근로소득과 함께 신고 | 연말정산과 별도로 5월에 본인이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|
반응형
'운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5 종소세] 블로거 사업자등록시 업종은 뭘로 해야할까? (0) | 2025.05.10 |
---|---|
[2025 종소세]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과 방법 (0) | 2025.05.09 |
[2025 종소세] 블로그 사업자등록 시 ‘간이사업자’와 ‘일반사업자’ 중 어떤 걸 선택해야 유리할까? (0) | 2025.05.08 |
[2025 종소세] 블로그 수익이 사업소득으로 인정될 경우, 직장인도 사업자등록을 해야 하나요? (0) | 2025.05.07 |
[2025 종소세] 종합소득세 간단 계산 방법 (0) | 2025.05.06 |
[2025 종소세] 유튜버는 1년 수익이 얼마 이상이면 신고해야 하나요? (0) | 2025.05.04 |
[2025 종소세]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는 누구? (0) | 2025.05.03 |
[2025종소세]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안내 (0) | 2025.05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