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운영

[2025 종소세] 연금소득이 있을 때 종합소득세 신고 꼭 해야 할까?

반응형

연금소득이 있을 때 종합소득세 신고 꼭 해야 할까? 기준 정리!

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이죠. 그런데 프리랜서, 사업자뿐 아니라 연금소득이 있는 분들도 신고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오늘은 "연금소득이 있다고 무조건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하는가?"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정리해드립니다.

목차

 

 


✅ 연금소득, 무조건 신고해야 하나요?

결론부터 말하면 연금소득의 종류와 금액에 따라 다릅니다. 아래 표로 한눈에 확인해보세요.

연금소득 유형  연간 수령액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
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금액 무관 ❌ 신고 불필요 (원천징수됨)
연금저축/IRP 등 연금계좌 1,200만 원 이하 ✅ 선택 가능 (분리과세)
연금저축/IRP 등 연금계좌 1,200만 원 초과 ✅ 반드시 신고 (종합과세)
기타 사적연금 (보험사 연금 등) 계약조건에 따라 ⚠️ 신고 필요 여부 상이

 

 


📌 연금 유형별 자세한 설명

🔹 1.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

  • 국민연금, 공무원연금 등은 이미 세금이 빠진 채로 지급됨
  • 추가 신고 X, 종합소득세와 무관

연금소득이 있을 때 종합소득세 신고 꼭 해야 할까?

 


🔹 2. 연금저축, IRP, 퇴직연금 등

  • 세액공제 혜택을 받은 연금계좌에서 받는 수령액
  • 기본적으로 연금소득세 3.3~5.5%로 분리과세

✅ 하지만!

  • 연간 수령액이 1,200만 원을 초과하면, 분리과세 불가
  • 종합소득에 합산되어 누진세율 적용 → 세금 더 나올 수 있음

 

 


🔹 3. 개인연금보험 등 사적연금

  • 10년 이상 유지한 연금보험은 과세이연 혜택이 있음
  • 하지만 조건에 따라 기타소득 or 이자소득으로 분류될 수 있어
  • 보험사별 계약 조건 따라 종합과세 or 분리과세 여부 달라짐

 

 


✅ 종합소득세 신고 기준 요약

구분  신고 대상 여부 주의사항
국민연금 ❌ 아님 원천징수로 끝남
연금저축/IRP ✅ 1,200만 원 초과 시 다른 소득과 합산 신고 필요
사적연금 ⚠️ 조건에 따라 다름 보험사 확인 필요

 

 


⚠️ 이런 분들은 꼭 체크하세요!

  • 🔸 연금저축·IRP 수령액이 1,200만 원 초과하면서
  • 🔸 근로소득, 사업소득, 프리랜서 수입 등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

👉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하면 가산세 부과될 수 있습니다.

 

 


💡 TIP: 연금소득세 줄이는 전략도 있다?

  • 연금계좌 수령액을 연 1,200만 원 이하로 조절하면 계속 분리과세로 처리 가능
  • 다른 소득이 많을 경우, 연금 수령 시기 분산도 절세 전략 중 하나

 

마무리 정리

연금소득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. 하지만 ‘1,200만 원 초과’ 여부가 핵심 기준이 되며, 다른 소득과 합산되면 누진세 적용으로 세금이 늘어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.

반응형